한국 최초로 AI를 활용한 장편 영화 '중간계'의 강윤성 감독과 배우들이 AI의 한계점과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오늘(13일) 영화 '중간계'의 언론시사회가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렸다. 시사회 직후 이어진 기자간담회에는 연출을 맡은 강윤성 감독과 배우 변요한, 김강우, 방효린, 임형준이 참석해 작품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눴다.
'중간계'는 이승과 저승 사이 ‘중간계’에 갇힌 사람들과 그 영혼을 소멸시키려는 저승사자들간의 추격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 '파인: 촌뜨기들', '카지노', '범죄도시' 등 웰메이드 작품을 선보여 국내 대표 흥행 감독으로 꼽히는 강윤성 감독이 국내 최초로 AI를 활용해 만든 장편 작품이다.
'파인: 촌뜨기들'을 촬영하던 당시 AI 기술로 만든 영상을 접했다는 강 감독은 AI를 상업영화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작품을 연출했다고 밝혔다.
그는 "작업을 처음 시작한 올해 3월에는 AI 기술이 실사 영화와 섞이지 않을 정도였는데 촬영 중에도 기술이 계속 발전했다. 발전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였다. 영화 산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AI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아주 좋은 도구라 산업이 그쪽으로 흘러갈 것 같다"라며 AI가 향후 영화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작품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4~5일 정도 작업 기간이 걸리는 차량 폭발 장면은 1~2시간 만에 완성하기도 했다고.
하지만 강 감독은 AI가 배우를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가 배우를 대체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배우는 1명이 각각 크리에이터이기 때문에 AI가 대체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CG 기술을 AI로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우들 역시 같은 입장을 전했다.
변요한은 "과연 AI라는 것이 영화산업에 어떻게 활용되고 어떤 선까지 넘어올 수 있으며, 우리가 어디까지 인식할 수 있을까 생각해 봤다. 결과적으로 감독, 배우, 스태프들 인간의 상상력과 창작이 없으면 AI 존재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영화 산업은 시간과 자본 싸움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그런 면에서 충분히 체감할 수 있었고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쓸지 체감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김강우 역시 "배우 입장에서는 우리 직업이 없어지는 것은 아닐까 겁도 났다. 하지만 아직은 대체할 수 없을 것 같다. 보완하고 효율적인 것에 도움은 되지만 배우 대체하는 것은 힘들지 않을까 싶다"라며 AI 기술의 한계점을 명확히 했다.
방효린 또한 "일반 작품보다 촬영, 분장, 음향 등 모든 스태프들과 훨씬 활발한 소통을 했고 배우들과도 훨씬 더 많은 소통이 있었다. AI를 활용했지만 배우의 감정, 모든 분들과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아서 AI가 배우를 대체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었다"라고 말했다.
임형준도 "연기가 아직까지는 배우와 사람의 영역인 것 같다. 많은 군중이 필요한 장면의 경우 배경으로서 AI가 인간을 대신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AI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배우들도 다른 배우와의 호흡이 아닌 다른 것도 염두에 두며 공부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영화 '중간계' 10월 15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YTN star 김성현 (jamkim@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