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설경구부터 문소리·차승원·김희애·류준열·라미란·유승호·장기용까지.
대한민국 연예계를 대표하는 배우들을 거느린 두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와 씨제스 스튜디오가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을 정리했다.
앞서 지난 1월 YG엔터테인먼트는 본업인 음악에 집중하기 위해 사업구조 재편을 단행하며 그 일환으로 배우 매니지먼트 업무를 종료한다고 밝혀 업계를 놀라게 했다.
당시 YG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된 배우는 김희애, 차승원, 장현성, 유인나, 정혜영, 유승호, 김수현, 이성경, 장기용, 이수혁, 경수진, 한승연, 손나은 등으로 그
규모가 작지 않았다. 특히 쟁쟁한 스타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어 업계에서는 이들의 향후 행보에 대해 관심이 집중됐다.
이후 주연급 배우나 중견 배우들은 대형 기획사나 신생 매니지먼트사들과 계약을 체결하며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배우들이나 신인급 배우들의 거취는 알려지지 않았다.
YG엔터테인먼트가 업계 안긴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지난 4월, 대형 엔터테인먼트사인 씨제스 스튜디오 역시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을 접는다고 선언했다.
씨제스 스튜디오는 "불필요한 비용 구조를 정비하는 체질 개선과 구조 효율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콘텐츠 및 음반 등 제작 중심의 핵심 사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씨제스 스튜디오 역시 설경구, 오달수, 박성웅, 채시라, 조성하, 문소리, 송일국, 엄지원, 신은정, 최병모, 라미란, 박병은, 류준열 등 굵직한 배우들이 소속돼 있어 이들의 향후 거취에 눈길이 모였다.
이미지 확대 보기
YG엔터테인먼트와 씨제스 스튜디오는 최근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 정리 소식을 전했다
이처럼 드라마와 영화계에서 섭외 1순위로 손꼽히는 흥행 보증 수표 배우들이 있음에도 이들이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에 마침표를 찍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은 배우와 매니지먼트 사이 불균등한 수익 구조다. 대부분의 매니지먼트가 배우에게 유리한 계약을 체결하는데 이는 회사로서는 끊임없는 적자가 발생하는 악순환의 고리라는 것이다.
15년 차 업계 관계자 A씨는 "회사 배분율과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배우 매니지먼트만으로는 수익이 나오기 불가능에 가까운 구조다. 특히 주연급 배우들의 경우 배분율이 8:2 혹은 9:1인 경우가 다수"라고 말했다.
특히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글로벌 시장 경제의 불황이 가속화되며 콘텐츠 제작 편수 역시 현저히 줄어든 것 역시 영향을 끼쳤다고.
A씨는 "제작되는 작품 수는 줄어드는 반면, 작품의 제작 기간은 늘어나는 추세가 계속되며 배우에게 투입되는 진행비가 상승했다. 정산 과정에서 매니지먼트사에서 마이너스가 아니라면 다행이라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10년 차 관계자 B씨 또한 "전체적으로 제작되는 작품 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오랜 시간과 자본을 투입해 신인 배우를 발굴하고 키우는 것이 쉽지 않다. 자연스레 몸값이 높은 배우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며 악영향의 굴레를 벗어나기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20년 차 업계 관계자 C씨는 산업 구조 전반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드라마와 영화 등 현재 제작되는 작품들은 도전보다는 안전성을 택하며, 이미 성공한 배우를 잡기 위해 지나치게 높은 몸값을 지불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
그는 "이미 성공한 배우에게 일이 몰리며 새로운 스타 탄생이 어려워졌다. 배우 매니지먼트는 새로운 배우를 발굴해 성장시켜 수익을 내야 하지만 지금은 기존 배우들을 붙잡기 위해 지나치게 높은 비용을 지불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작 업계는 몸값이 높은 배우가 최선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저예산일지라도 신선한 시도를 하는 작품과 새로운 배우가 늘어나야 역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YTN star 김성현 (jamkim@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