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이 Mnet의 30주년을 맞아 향후 글로벌 음악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지난 15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Mnext : Worlds of Mnet Since 2025’ 행사에서 CJ ENM은 2025년을 겨냥한 음악사업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과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이 무대에 올라, CJ ENM의 3대 핵심 전략과 엠넷플러스의 플랫폼 비전을 소개했다.
먼저 CJ ENM은 올해 ▲글로벌 멀티 레이블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글로벌 플랫폼을 중심으로 음악사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신형관 본부장은 웨이크원과 일본 라포네 엔터테인먼트의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국내외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새로운 글로벌 레이블을 연내 출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전략 강화도 예고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국가 대항전 콘셉트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한중 동시 제작·방송되는 ‘보이즈 2 플래닛’, 애플TV+와 공동 제작하는 8부작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가제)’, 글로벌 밴드 서바이벌 ‘밴드 프로젝트(가제)’ 등이 포함됐다.
또한, '언프리티 랩스타'와 '스트릿 우먼 파이터' 제작진이 손잡은 한일 합작 힙합 프로젝트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는 올해 하반기 방영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CJ ENM은 음악 기반 IP 생태계 ‘MCS(Music Creative eco-System)’를 통해 신인 아티스트 발굴, 중소기획사 협업,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뿐 아니라, ‘KCON’, ‘MAMA AWARDS’, 팬 커뮤니티 플랫폼 ‘엠넷플러스’를 통한 글로벌 팬 접점 확대까지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신 본부장에 이어 발표자로 나선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은 플랫폼 고도화 계획을 발표하며, 엠넷플러스가 K-POP 콘텐츠, 팬 커뮤니티, 글로벌 커머스를 3대 축으로 삼고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오리지널 콘텐츠 ‘숨바꼭질’을 비롯해, KCON과 MAMA 등 주요 콘텐츠의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가 대폭 강화된다. 포토콜렉트, 실시간 TALK, 팬 전용 포스팅, 1:1 채팅 등 팬터랙티브 기능도 확대된다. 4월 중에는 '엠넷플러스 머치(Mnet Plus Merch)' 베타 서비스를 론칭해 CJ ENM의 IP를 기반으로 한 온·오프라인 커머스를 선보인다. 리미티드 에디션 중심의 큐레이션으로 팬덤 플랫폼 경쟁력도 함께 강화할 계획이다.
[사진=CJ ENM]
YTN star 곽현수 (abroad@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